2025년 ICF 글로벌 코칭 연구에서 얻는 인싸이트
황현호 원장
국제코치훈련원 원장
한국부부행복코칭센터 원장
아주대학교경영대학원 겸임교수
광운대학교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전, ICF코리아챕터 회장
2025년 ICF 글로벌 코칭 연구는 국제코칭연맹(ICF)과 PwC가 공동으로 수행한 여섯 번째 주요 연구로, 127개국에서 10,000명 이상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8주간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코칭이 단순한 개인 성장 도구를 넘어 글로벌 경제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전문 산업임을 입증한다.
산업 규모와 성장 동력
코칭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53억 4천만 달러(USD)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2023년 이후 코치 수가 15% 증가하여 122,974명의 전문가가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지정학적 변화와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코칭이 오히려 더욱 필요한 전문 서비스임을 반영한다.
주목할 점은 성장의 원동력이다. 코치의 59%가 내년 수익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요율 인상보다는 고객 수와 세션 수 증가에 의해 주도된다. 이는 코칭이 단발적 서비스가 아닌 신뢰 기반의 지속적 관계를 통해 성장하는 산업임을 보여준다. 코치의 경쟁력은 더 이상 높은 시간당 요율이 아니라, 고객과 얼마나 깊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가에 달려 있다.
전문화와 세대 간 차이
리더십 및 임원 코칭이 여전히 지배적 영역이며, 코치의 54%가 이 분야를 전문으로 한다. 그러나 세대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밀레니얼 코치는 리더십 및 임원 코칭에 66%만 집중하는 반면, 베이비붐 세대 코치는 81%가 해당 분야를 다룬다.
젠X 세대 코치 비율은 49%에서 53%로 증가했고, 베이비붐 세대는 38%에서 35%로 감소하며 코칭 산업의 세대 교체가 시작되었다. 이는 단순한 인구 통계적 변화가 아니라, 코칭 접근 방식과 전문 영역의 다변화를 의미한다. 젊은 세대는 조직 중심의 전통적 코칭을 넘어 웰빙, 커리어 전환, 삶의 균형 등 다양한 영역으로 코칭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다양성과 전문성의 강화
코칭 업계는 여성 주도적이며(72%), 지역별로는 동유럽이 81%로 가장 높고 아시아가 62%로 가장 낮다. 동유럽은 비즈니스 성장을 위해 추가 자격증을 취득한 코치 비율이 50%로 가장 높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코치의 3분의 2가 고등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코칭이 단순히 대화 기술만으로 수행되는 직업이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 학습과 자격 취득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특히 지역별로 전문성 강화 노력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은, 각 시장의 성숙도와 경쟁 강도를 반영한다.
역량의 확장과 융합
코치들은 코칭 외에도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교육(60%), 컨설팅(57%), 퍼실리테이션(55%), 멘토링(49%) 등이 포함된다. 이는 현대 코치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더 이상 코칭만으로 국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고객의 복잡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코치는 학습 설계자, 조직 변화 촉진자, 전략적 사고 파트너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융합적 접근은 코치의 시장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단순 코칭 세션을 넘어선 통합적 솔루션 제공자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게 한다. 코칭은 이제 독립된 서비스가 아니라, 조직 개발과 인재 육성의 생태계 속에서 다른 개입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전략적 도구다.
전문가를 위한 성찰
2025년 ICF 연구가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코칭 산업은 성장하고 있지만, 그 성장의 혜택은 모든 코치에게 균등하게 돌아가지 않는다. 성장의 중심에는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전문성을 심화하며, 고객과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코치들이 있다.
코치는 자신에게 질문해야 한다. 나는 단순히 세션 수를 늘리는 데 집중하는가, 아니면 고객의 진정한 변화를 위해 관계의 깊이를 더하는가? 나의 전문성은 시장의 변화와 함께 진화하고 있는가, 아니면 과거의 방식에 머물러 있는가? 코칭이 글로벌 경제에 5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시대, 이제 전문가로서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재정립할 시점이다.
성찰 질문
1. 나는 코칭 전문가로서 어떤 영역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전문성을 깊이 있게 발전시키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2. 나의 코칭 실천은 단기적 세션 수 증가에 초점을 두는가, 아니면 고객과의 신뢰 관계를 기반으로 한 장기적 성장 전략을 따르고 있는가?
참고문헌
•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ICF). (2025). Coaching Industry Continues Global Growth with $5.34 Billion USD Revenue, New Research Reveals. Retrieved from https://coachingfederation.org/blog/coaching-industry-continues-global-growth-with-5-34-billion-usd-revenue-new-research-reveals/
•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ICF) & PricewaterhouseCoopers (PwC). (2025). 2025 ICF Global Coaching Study: Executive Summary. Lexington, KY: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