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달성의 과학_황현호 원장

작성자: 최고관리자님    작성일시: 작성일2025-08-05 16:39:32    조회: 81회    댓글: 0

 

목표 달성의 과학

 

황현호 원장

국제코치훈련원 원장

한국부부행복코칭센터 원장

아주대학교경영대학원 겸임교수

광운대학교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전, ICF코리아챕터 회장

 

 

 

 

"하버드 졸업생 중 3%만이 목표를 글로 썼고, 20년 뒤 그들은 나머지 97%보다 10배 더 많이 벌었다!"라는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강력한 일화는 수많은 자기계발서와 강연에서 인용되며 마치 사실인 것처럼 받아들여져 왔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이야기는 완전한 도시 전설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도시 전설의 붕괴와 진짜 연구의 탄생

 

사회 심리학자 스티븐 크라우스와 여러 연구자들의 문헌 검토, 그리고 패스트 컴퍼니 매거진의 조사 결과 하버드나 예일에서 이런 연구가 진행된 적이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 가짜 이야기가 오히려 진짜 중요한 질문을 불러일으켰다. 과연 목표를 글로 쓰는 것, 구체적인 계획 수립, 그리고 책임감이 실제로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까?

 

이런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도미니칸 대학교의 게일 매튜스(Gail Matthews) 교수가 실제 과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목표를 글로 쓴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33% 더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연구 설계: 다섯 그룹의 서로 다른 여정

 

매튜스 교수의 연구에는 총 267명의 참가자가 모집되었다. 이들은 비즈니스, 다양한 조직, 그리고 비즈니스 네트워킹 그룹에서 온 사람들로, 나이는 23세부터 72세까지 다양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벨기에, 영국, 인도, 호주,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참여했다. 참가자들의 직업도 매우 다채로워 기업가, 교육자, 의료 전문가, 예술가, 변호사, 은행가, 마케터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무작위로 다섯 그룹으로 나뉘어 실험에 참여했다.

 

각 그룹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목표를 관리했다. 첫 번째 그룹은 4주 동안 목표를 생각만 했고, 두 번째 그룹은 목표를 글로 작성했다. 세 번째 그룹은 목표를 글로 쓰고 구체적인 행동 계획까지 세웠으며, 네 번째 그룹은 여기에 더해 목표와 계획을 친구에게 공개하여 약속했다. 마지막 다섯 번째 그룹은 가장 적극적인 활동을 했는데, 매주 진행 상황을 친구에게 이메일로 보고하고 알림까지 받았다.


 

놀라운 결과: 책임감과 보고의 힘

 

4주간의 연구 결과는 목표 달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 단순히 목표를 생각만 한 그룹의 달성률이 4.28이었던 반면, 목표를 글로 쓴 그룹은 6.08로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목표를 글로 쓰고 행동 계획을 세운 그룹이 6.41, 친구에게 약속한 그룹이 7.6, 그리고 주간 보고서까지 보낸 그룹이 8.08의 최고 달성률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코칭 도구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책임감, 약속, 그리고 목표를 글로 쓰는 것"이라고 매튜스 교수는 설명했다. 특히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마지막 단계가 그룹 5에게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코칭 관점에서 본 세 가지 핵심 원리

 

이 연구는 효과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세 가지 핵심 원리를 제시한다.


 

첫째, 목표의 구체화와 시각화이다. 

목표를 글로 쓰는 행위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뇌가 그 목표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만드는 인지적 효과를 가진다.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인 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목표는 더욱 명확해지고 실현 가능한 형태로 변화한다.


 

둘째, 사회적 책임감의 활용이다. 

목표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고 약속하는 순간, 우리는 그 목표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개인의 의지력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동기 부여 요소로 작용한다. 약속을 지키려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가 목표 달성의 원동력이 된다.


 

셋째, 지속적인 점검과 피드백 시스템이다. 

정기적인 진행 상황 보고는 목표 달성 과정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자기 성찰과 동기 유지의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실무 적용: 효과적인 목표 달성 전략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목표 달성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표를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글로 작성해야 한다. "건강해지겠다"가 아닌 "3개월 내에 주 3회 운동하여 체중을 5kg 감량하겠다"와 같이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목표를 공개하고 지지를 요청한다. 이때 단순한 격려를 넘어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주간 또는 월간 단위의 정기적인 점검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자기 평가와 외부 피드백을 결합한 형태로 운영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결론: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목표 달성

 

하버드 목표 연구라는 도시 전설이 붕괴되었지만, 그 대신 우리는 더욱 견고한 과학적 근거를 얻게 되었다. 도미니칸 대학교의 연구는 목표를 글로 쓰고, 타인과 약속하며,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실제로 목표 달성률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증명했다.


 

코칭 전문가로서 이 연구가 주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목표 달성이 개인의 의지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체계적인 접근과 사회적 지지 시스템, 그리고 지속적인 피드백이 결합될 때 비로소 진정한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는 고객들에게 단순히 목표를 세우라고 말하는 것을 넘어, 과학적으로 검증된 이 세 가지 원리를 활용한 체계적인 목표 달성 시스템을 제공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코칭의 가치이자 효과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핵심 전략이다.

 

 



성찰 질문

 1. 현재 당신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 중에서 아직 글로 작성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

 2. 목표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에 대해 어떤 두려움이나 저항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참고문헌

 

Matthews, G. (2007). The Impact of Commitment, Accountability, and Written Goals on Goal Achievement. Dominican University of California.

 

Kraus, S. (2015). The myth of the Harvard goal study. Harvard Business Review. Retrieved from academic research literature review.

 

Fast Company Magazine. (2014). Investigative report on the Harvard goal study myth. Fast Company.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 Implementation intentions and goal achievement: A meta-analysis of effects and processe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2), 345-378.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