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발견하는 네 개의 창문_황현호 원장

작성자: 최고관리자님    작성일시: 작성일2025-08-01 10:18:33    조회: 95회    댓글: 0

 

나를 발견하는 네 개의 창문

 

 

 

황현호 원장

국제코치훈련원 원장

한국부부행복코칭센터 원장

아주대학교경영대학원 겸임교수

광운대학교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전, ICF코리아챕터 회장

 

 

 

코칭 현장에서 만나는 많은 고객들이 공통적으로 던지는 질문이 있다. "저는 제 자신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원하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요?" 이런 질문 뒤에는 자기 인식의 한계가 숨어 있다. 우리가 스스로에 대해 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아는 것 사이에는 상당한 간극이 존재한다.


 

이런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탁월한 도구가 바로 '조하리의 창'이다. 1955년 심리학자 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링턴 잉햄(Harrington Ingham)이 개발한 이 모델은 두 사람의 이름을 합쳐 만들어졌다. 조하리의 창은 자기 인식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강력한 분석틀로, 개인의 내면을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보여준다.


 

네 개의 방이 말하는 자아의 진실

 

조하리의 창은 우리의 내면을 마치 네 개의 방처럼 구분한다. 각 방은 서로 다른 자아의 측면을 담고 있으며, 이 방들의 크기는 개인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첫 번째, 알려진 영역(Open Area)은 나도 알고 타인도 아는 공개된 영역이다. 이곳에는 우리의 성격, 행동 패턴, 가치관, 재능 등이 자리한다. 이 영역이 클수록 개방적이고 솔직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코칭에서 이 영역이 큰 고객들은 자신의 현재 상태를 명확히 인식하고 있어 변화의 출발점을 설정하기가 용이하다.


 

두 번째, 숨겨진 영역(Hidden Area)은 내가 알고 있지만 타인에게는 감추고 있는 사적 영역이다. 개인적인 두려움, , 과거의 상처, 은밀한 욕구 등이 이 공간에 존재한다. 이 영역이 지나치게 클 경우 타인과의 진정한 연결이 어려워지고, 자신의 진면목을 드러내지 못해 성장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다.


 

세 번째, 보이지 않는 영역(Blind Spot)은 내가 모르지만 타인은 알고 있는 영역이다. 무의식적 행동 패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강점이나 약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영역은 코칭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부분 중 하나다. 고객이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제한적 신념이나 행동 패턴이 바로 이 영역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네 번째, 미지의 영역(Unknown Area)은 나도 모르고 타인도 모르는 미개척 영역이다. 잠재력, 숨겨진 재능, 극한 상황에서의 반응 등이 이곳에 잠들어 있다. 새로운 도전과 경험을 통해서만 이 영역을 탐험할 수 있다.


 

블라인드 스팟, 성장의 핵심 열쇠

 

코칭 전문가로서 가장 주목해야 할 영역은 바로 '보이지 않는 영역'이다. 이 블라인드 스팟이야말로 고객의 성장을 가로막는 숨겨진 장벽인 경우가 많다.


 

이 영역을 줄이는 핵심은 타인이 해주는 긍적적 피드백과 개선적 피드백을 경청하는 것이다. 타인의 솔직한 피드백을 경청하는 것을 통해 고객은 자신이 미처 알지 못했던 행동 패턴이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십 코칭을 받는 고객이 자신은 경청을 잘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대화 중 자주 끼어들거나 결론을 서두른다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이런 개선적 피드백을 경청하고 수용하는 것이 바로 변화의 시작점이 된다.


 

코칭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객의 블라인드 스팟을 탐색한다. 360도 피드백, 행동 관찰, 비디오 분석, 타인과의 대화 녹음 검토 등이 그 예다. 중요한 것은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고객의 자세다. 방어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보다는 호기심과 성장 의지를 가지고 경청하고 수용해야 한다.


 

숨겨진 자아의 개방, 신뢰 구축의 열쇠

 

숨겨진 자아를 적절히 개방하는 것도 중요한 성장 과정이다. 물론 모든 것을 드러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선택적으로 공유할 때 타인과의 관계는 더욱 깊어지고 신뢰가 쌓인다.


 

코칭에서는 안전한 환경에서 고객이 자신의 숨겨진 면을 탐색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고객은 자신이 그동안 숨겨왔던 두려움이나 욕구가 실제로는 성장의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숨기고 있던 고객이 이를 인정하고 표현할 때, 비로소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할 수 있는 용기를 얻는다.


 

환경이 자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하리의 창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우리가 처한 환경과 상황에 따라 각 영역의 크기가 달라진다.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는 숨겨진 자아를 더 많이 개방하게 되고, 건설적인 피드백 문화가 있는 곳에서는 블라인드 스팟을 줄이기가 쉬워진다.


 

반대로 비판적이고 공격적인 환경에서는 방어적 태도를 취하며 자신을 더 많이 숨기게 된다. 코칭 전문가로서 우리는 고객이 자기 인식을 확장할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는 신뢰 관계 구축과 심리적 안전감 확보를 통해 가능하다.


 

성장을 위한 자기 인식의 확장

 

조하리의 창을 활용한 자기 인식 확장은 개인의 성장과 성과 향상에 직결된다. 알려진 자아를 확장하면 자신감이 증가하고, 블라인드 스팟을 줄이면 대인관계가 개선되며, 숨겨진 자아를 적절히 개방하면 진정성 있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미지의 자아를 탐험하는 용기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코칭 전문가로서 우리의 역할은 고객이 이 네 개의 창문을 통해 자신을 더 명확히 보고, 성장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조하리의 창은 단순한 심리 모델을 넘어서, 진정한 자기 인식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나침반 역할을 한다.


 

자기 인식이 확장될 때, 비로소 진정한 변화와 성장이 시작된다. 조하리의 창은 그 여정의 든든한 안내자가 되어줄 것이다.

 

 

 

 

 

성찰 질문


 

1. 최근 자신에 대해 받은 피드백 중에서 나를 놀라게 한 것은 무엇인가?

 

2. 나는 어떤 부분을 '숨겨진 자아'로 간직하고 있으며, 이를 적절히 개방한다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까요?

 

 


 

참고문헌

 

Luft, J., & Ingham, H. (1955). The Johari window, a graphic model of interpersonal awareness. Proceedings of the western training laboratory in group development. UCLA.

 

조해리의 창. (2025).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조해리의_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