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회기 코칭 중 첫 회기 진행하는 방법_황현호 원장

작성자: 최고관리자님    작성일시: 작성일2025-06-26 12:55:43    조회: 21회    댓글: 0

 

다회기 코칭 중 첫 회기 진행하는 방법




 

많은 코치들이 다회기 코칭을 진행할 때, 첫 번째 세션을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고민합니다.
첫 회기는 전체 여정의 방향을 설정하는 출발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오늘은 이 첫 회기에서 목표를 어떻게 함께 설계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다회기 코칭에서 첫 회기는 단순한 오리엔테이션이 아닙니다.
이 시간은 고객과 함께 코칭의 목적, 방향, 기대, 역할, 성공의 기준을 공동으로 설계하며 신뢰 기반의 파트너십을 여는 시간입니다.
ICF
핵심역량 중 ‘3번 역량(합의를 도출하고 유지한다)’가 이 첫 회기의 중심 역할을 하며, 이와 함께 4(신뢰), 5(현존), 7(알아차림), 8(고객 성장)이 통합적으로 작동합니다.

 

여정 설계를 위한 네 가지 흐름

첫째, 관계를 여는 따뜻한 연결: 신뢰와 안전을 위한 시작

첫 몇 분은 코칭의 전체 분위기를 좌우합니다.
감사 인사, 편안한 눈맞춤, 안정된 말투는 고객에게 이 시간은 당신의 공간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는 ICF 4(신뢰와 안전 조성)5(현존) 역량을 자연스럽게 반영하는 출발점입니다.

: “이 시간이 고객님께 어떤 시간이 되었으면 하시나요?”
: “오늘 저와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꺼내기 전에, 현재 기분은 어떠신가요?”

 

둘째, 의미를 여는 질문: 지금 이 주제는 왜 중요한가요?

고객이 첫 세션에 가져온 주제를 그대로 다루기보다는, 그 주제의 맥락과 동기, 가치를 함께 탐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는 고객이 단기적 해결 중심에서 벗어나, 코칭 여정 전체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이 주제를 오늘 들고 오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 “6개월 후 어떤 변화가 일어나면 좋겠다고 느끼시나요?”
: “이 주제가 고객님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고객들은 종종시간 관리를 잘하고 싶어요”, “일이 많아요와 같은 표현으로 시작하지만, 대화를 통해나는 다른 사람의 기대에 휘둘리며 살고 있다는 내면의 진짜 주제를 발견하곤 합니다.
이러한 탐색 과정은 ICF 6(적극적 경청)7(알아차림 유발) 역량을 바탕으로 깊이 있게 진행됩니다.

 

셋째, 목표를 압축하고 확장하기: 합의는 명확하고 유연하게

지금까지 나눈 대화를 바탕으로, 고객이 핵심 주제를 정리해보도록 지원합니다.
핵심 문장, 키워드, 메타포 등으로 간결하게 정리하면서 고객의 자발성과 주도성을 강화합니다.

: “오늘 대화를 하나의 제목으로 붙인다면 어떤 말이 떠오르시나요?”
: “앞으로의 코칭 시간 동안,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싶은 중심 주제를 간결하게 표현해 본다면요?”

이후 SMART 기준에 따라 행동 목표를 구체화하면서, 동시에 감정 목표도 함께 포함시킵니다.
: “회의 발언을 늘린다” + “그 과정에서 내 존재감과 자신감을 느낀다 (자신감 지표 7점 이상)”

마지막으로, 코치와 고객의 역할을 명확히 나눕니다.
역할 정리는 고객의 주도성과 책임감을 높이며, 이후 회기 운영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 “코치인 저는 질문과 프로세스 진행을 통해 고객님의 여정을 돕겠습니다. 그 여정의 방향과 실행은 온전히 고객님의 몫입니다. 동의 하시나요?”

 

넷째, 감정을 확인하고 다음 발걸음을 함께 디자인하기

마무리 단계에서는 코치가 요약하고, 고객이 스스로 보완하며 계획을 확정해 갑니다.
이 과정은 ICF 8(고객 성장 촉진) 역량이 강조하는 고객 주도 학습과 실행을 실현하는 장면입니다.

: “지금까지 정리된 계획을 떠올릴 때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 “오늘 대화를 통해 새롭게 발견하거나, 확실해진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작고 실행 가능한 과제 1~2개를 고객과 함께 정리하고, 세션 종료 30분 이내에 요약본과 리마인더 메시지를 전송하면 코칭의 전문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전에서 코칭이 깊어지는 팁

  • 에서어떻게로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질문을 설계하세요.

  • Wheel of Life, 에너지 맵, 타임라인 등 시각 도구를 고객과 함께 활용해 보세요.

  • 이 대화 흐름이 지금 고객님께 도움이 되고 있나요?”와 같은 메타 질문은 고객을 코칭진행상황에 초대하고 코칭을 고객 주도적으로 재정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코칭 현장에서 자주 경험하는 순간들

많은 고객들은 처음엔계획을 잘 세우고 싶다는 이야기를 꺼냅니다.
하지만 대화를 통해나는 실패가 두려워 시작 자체를 미룬다자기 보호의 패턴을 자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깊은 통찰은 단순한 문제 해결이 아닌, 고객의 삶 전체를 성찰하고 성장시키는 변화의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성찰 질문

  1. 첫 회기 10분 안에, 고객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열 수 있는의미 탐색 질문을 나는 얼마나 준비하고 있는가?

  2. 행동 목표와 감정 목표를 동시에 담아낼 수 있는 문장 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면 좋을까?

 


***첫 회기에서 목표를 합의할때 사용할 만한 도구들

 

15063f84d56c37271ee3d4723e11e587_1750910836_1529.pn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