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의 성과주의와 과정 자체의 가치_황현호 원장

작성자: 최고관리자님    작성일시: 작성일2025-04-28 07:38:09    조회: 233회    댓글: 0

 

 

코칭의 성과주의와 과정 자체의 가치

 

 

 

황현호 원장 (MCC, KSC)

국제코치훈련원 원장

한국부부행복코칭센터 원장

아주대경영대학원 겸임교수

광운대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 겸임교수

한국코치협회 조직문화지원단 위원

, ICF 코리아챕터 회장

 

 

 

코칭을 하다 보면 세션마다 다른 결과를 경험하게 됩니다. 때로는 고객이 중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이루거나 획기적인 행동 변화를 보일 때 전문가로서의 가치를 실감하게 됩니다. 반면, 구체적 성과 없이 잔잔하게 마무리되는 세션도 빈번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치는 자연스럽게 세션의 성패를 자신의 역량과 직결시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대니얼 카너먼의 회귀이론(Regression to the Mean)은 코칭 결과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특별히 탁월하거나 미흡한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평균값으로 회귀하는 통계적 현상을 보입니다. 이는 코칭 세션의 성과가 코치의 전문성만으로 결정되지 않음을 시사합니다. , 코칭 세션의 결과는 코치의 전문성 외에도 고객의 코치에 대한 신뢰의 정도, 얼마나 열렬히 원하는 목표인가, 고객의 심리적·정서적 동기 상태, 외부 환경적 요인 및 상황적 맥락, 자연적인 성장 과정의 변동성, 코치-고객 간 상호작용의 역동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코칭의 진정한 전문성은 단기적 세션 결과보다 일관된 코칭 구조와 철학의 구축에 있습니다. 고객의 통찰과 성장을 촉진하는 과정 자체에 가치를 두는 코치는 메타인지적 접근을 통해 세션 중 발생하는 미묘한 변화와 역동성을 인식하고 조율하는 능력을 발휘합니다. 또한, 즉각적 성과가 보이지 않더라도 코칭 과정의 누적적 가치를 신뢰하는 자세를 유지하며, 개인적 성취감이나 좌절감에서 벗어나 고객 중심의 관점을 유지합니다. 더불어 단일 세션이 아닌 코칭 세션 전체를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시스템적 사고를 발휘하게 됩니다.

 

진정한 코칭 전문가는 성과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코칭 여정 자체를 통해 성장합니다. 이는 결과 지향적 평가보다 과정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각 세션은 그 자체로 코치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학습 기회이며, 매 순간의 진정성 있는 관여는 고객의 삶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칩니다. 코칭은 단발적 개입이 아닌 고객과 함께하는 발전적 여정입니다. 성과가 두드러진 세션이든 잔잔한 대화였든, 각 세션은 코치와 고객 모두의 성장 여정에 기여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성찰 질문

 

1. 코칭 과정에서 경험한 실패를 어떻게 재해석하고 성장의 기회로 전환하셨나요?

 

 

2. 고객의 미묘한 변화와 성장을 인식하기 위해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