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듬히"
정우석(PCC, KPC)
국제코치훈련원 파트너코치
서치펌, 골든에이지 이사
직업상담사 2급
- 로버트 왈딩거와 마크 슐츠가 저술한 <세상에서 가장 긴 행복탐구 보고서(2023, 원제 : The Good Life)>는 1938년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인 하버드 대학교의 최장기 연구 프로젝트 ‘하버드 성인발달 연구’(The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의 결과물입니다.
- 2005년부터 이 프로젝트의 4번째 책임자를 맡게 된 로버트 왈딩거 교수는 '하버드 성인발달 연구'에 참가한 이들을 80대까지 추적한 결과, 참가자들이 중년기에 이르렀을 때를 돌아보면서 누가 행복한지, 누가 건강한 80세를 맞이하고, 누가 그렇지 않을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그 결과, 연구진이 찾아낸 가장 강력한 변인은 그가 속한 사회적 계층이나 지능이 아니며, 중년기의 '콜레스테롤' 수치도 아닌 ‘사회적 관계’, 즉 ‘자신의 인간관계에 얼마나 만족하느냐' 라는 것이었습니다. 50세 때 자신의 인간관계에 가장 만족한 사람이 80세에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가장 건강했다고 합니다. 이때 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양'보다 ‘관계의 질’이라고 하는데요, '관계의 질'을 확보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이후로도 행복하고 성공할 확률이 훨씬 높았다고 합니다.
- 소노 아야코(Sono Ayako)라는 일본 소설가도 관계, 즉 만남에 대해 비슷한 말을 남겼는데요,
“한 사람의 인생이 풍요로웠는지를 따지는 척도는 그가 이 세상에서 얼마나 다양한 만남을 가졌느냐에 달려있다. 만남은 사람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연과 일상에서 겪는 사소한 일들을 비롯해 추상적인 영혼, 또는 정신이나 사상과의 만남도 포함된다"라고 했습니다.
< 비스듬히 > - 정현종
생명은 그래요
어디 기대지 않으면 살아갈 수 있나요?
공기에 기대고 서 있는 나무들 좀 보세요
우리는 기대는 데가 많은데
기대는 게 맑기도 하고 흐리기도 하니
우리 또한 맑기도 흐리기도 하지요
비스듬히 다른 비스듬히를 받치고 있는 이여.”
- 정현종 시인의 <비스듬히>라는 詩에서, ‘기댐'을 '만남’으로 바꿔본다면 우리 삶의 '맑고 흐림'은 만남의 '대상'에 달려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인생을 살면서, 직장을 다니면서, 좋은 만남을 많이 가지면 그만큼 행복한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버드대학교 연구진이나, 일본과 한국의 문인 모두 행복의 조건으로 관계, 만남을 공통으로 들고 있다는 점은 참 흥미롭습니다.
- 매년 새 학기가 되면, 학부모들은 내 아이가 좋은 친구들을 만나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저도 어린 삼 형제가 있어서 언젠가 그런 바람을 담아 기도했더니, 누군가 제게 눈이 번쩍 뜨이는 얘기를 해주더라고요. “내 아이가 좋은 친구를 만나게 해달라고 기도하기 전에, 내 아이는 동급생들에게 정말 '좋은 친구'인지, 그렇게 되도록 집에서 잘 양육했는지 돌아보라고요.” 참으로 맞는 말입니다.
- 우리는 모두 "어디 기대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존재들입니다. "기대는 데가 많으니 기대는 게 맑기도 하고 흐리기도 하면, 우리 또한 맑기도 흐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맑기도 흐리기도 하면", 우리 곁에 비스듬히 기댈 사람들을 '맑게 흐리게' 할 것입니다.
- 헤드헌터를 직업으로 삼으면서, 제가 몸담았던 직장의 선/후배, 동료들에게 신세 질 일들이 참 많습니다. 그래서 이 일을 하면 할수록, 세상 참 착하게 살아야겠다…. 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헤드헌터만 그렇겠습니까?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일이, 착하게 살아야 그 업에서 인정도 받고 오래도록 일을 지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세상에는 '일 잘하는 법'을 얘기하는 책은 많은데, '착하게 일하는 법'을 얘기하는 책은 많이 없으니, 언젠가 제 부족한 필력으로 그런 책을 한번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그전에 착한 인간이 되어야겠지요.
성찰 질문
1. 나는 내 인생을 풍요롭게 해주는 사람들을 얼마나 많이 곁에 두고 있는가?
2. 나는 얼마나 많은 사람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고 있는가? 무엇으로 그렇게 해주고 있는가?
참조 : 2015년 11월, TED 토크 <무엇이 좋은 삶을 만드는가(What makes a good life)>
https://youtu.be/8KkKuTCFvzI?si=SaloQ3mYHVOEEL60